
책 소개
『메가스터디 영문법 개념백과 186 기본편』은 많은 영문법 요소들 가운데 학교 영어 범주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영문법 요소 186개를
선별하여 ‘내신-수능’까지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든 영문법 기본서이다.
고교생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영문법 개념 186개 수록하고 필기노트 스타일의 ‘개념-예시-추가설명’의 술술~* 이어지는 흐름이다.
학기 중엔 참고서로, 방학 중엔 문법 점검서로 내신-수능까지 한번에 준비할 수 있다.
2고등
1. 문장의 형식과 동사
1.1. S + V : 1형식
1.2. S + V + S.C. : 2형식
1.3. S + V + O : 3형식
1.4. S + V + I.O. + D.O. : 4형식
1.5. S + V + O + O.C. : 5형식
1.5.1. 목적격보어로 〈명사(구)나 형용사(구)〉를 취하는 동사
1.5.2. 목적격보어로 〈부정사(구)〉를 취하는 동사
1.5.3. 목적격보어로 분사를 취하는 동사
2. 시제
2.1. 단순시제 : 과거, 현재, 미래
2.2. 완료시제 :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2.2.1. 현재완료
2.2.2. 과거완료
2.2.3. 미래완료
2.3. 진행형
2.3.1. 단순시제 진행형: 과거진행형, 현재진행형, 미래진행형
2.3.2. 완료진행형: 현재완료진행형, 과거완료진행형, 미래완료진행형
2.3.3. 상태 동사
3. 수동태
3.1. 〈능동태 → 수동태〉로의 전환 및 주의사항
3.2. 3형식의 수동태
3.3. 4형식의 수동태
3.3.1. 직접목적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할 때, 간접목적어 앞에 오는 전치사 to, for, of
3.3.2. 직접목적어만 주어로 하여 수동태를 만드는 동사
3.3.3. 간접목적어만 주어로 하여 수동태를 만드는 동사
3.4. 5형식의 수동태
3.4.1 목적격보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들
3.4.2 목적격보어의 형태가 변하는 것들
3.5. 주의해야 할 수동태
4. 부정사
4.1. 부정사의 형태
4.1.1. 부정사의 종류: to부정사, 원형부정사
4.2.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4.2.1. 명사적 용법: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4.2.2. 가주어와 가목적어
4.3.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4.3.1. 형용사적 용법: 명사 수식, 보어 역할
4.3.2. 전치사를 동반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
4.4.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4.4.1. 부사적 용법: 동사/형용사/부사 수식
4.4.2. 관용표현: enough to부정사, too ~ to부정사, so ~ as to부정사
4.4.3. 독립부정사
4.5.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4.5.1. 의미상의 주어의 형태
4.5.2. 의미상의 주어를 표기하지 않은 경우
4.6. to부정사의 시제와 태
5. 동명사
5.1. 동명사의 형태와 역할
5.2. to부정사 vs. 동명사
5.2.1.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5.2.2. to부정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5.2.3. 목적어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동사
5.3. 동명사의 관용표현
5.4.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
5.4.1. 의미상의 주어의 형태
5.4.2. 의미상의 주어를 표기하지 않은 경우
5.5. 동명사의 시제와 태
6. 분사
6.1. 분사의 형태와 기능
6.1.1. 분사의 기능: 한정적 용법, 서술적 용법
6.1.2.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
6.2. 분사구문의 형태와 의미
6.2.1. 분사구문의 형태
6.2.2. 분사구문의 의미
6.3. 분사구문의 시제와 태
6.4.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
6.4.1. 「with + 목적어 + 분사」구문
6.4.2. 독립 분사구문
6.4.3. 비인칭 독립 분사구문
6.4.4. 현수 분사구문
7. 조동사
7.1. 일반 조동사 : be, have, do
7.2. 법 조동사
7.2.1. can/could
7.2.2. may/might
7.2.3. must/have to
7.2.4. will/would/used to
7.2.5. should[ought to]/had better
7.2.6. 조동사 + have + p.p.
8. 가정법
8.1. 직설법과 가정법
8.2. 가정법 과거
8.3. 가정법 과거완료
8.4. 혼합 가정법
8.5. 가정법이 사용된 구문
8.5.1. I wish 가정법
8.5.2. as if 가정법
8.5.3. without 가정법
8.6. If의 생략
9. 전치사
9.1. 전치사의 역할과 전치사의 목적어
9.2.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9.3.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
9.4. 〈원인·이유·목적·결과〉를 나타내는 전치사
9.4.1.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전치사
9.4.2. 〈목적·결과〉를 나타내는 전치사
9.5. 주요 전치사의 쓰임 (1) : in, on, at, for, by
9.6. 주요 전치사의 쓰임 (2) : from, of, with, to
10. 접속사
10.1. 등위접속사
10.1.1. 등위접속사
10.1.2. 상관접속사
10.2.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10.2.1. 명사절 접속사 that
10.2.2. 명사절 접속사 if/whether
10.3. 부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10.3.1. 〈시간〉 부사절 접속사
10.3.2. 〈원인·이유〉 부사절 접속사
10.3.3. 〈목적〉 부사절 접속사
10.3.4. 〈결과〉 부사절 접속사
10.3.5. 〈양보〉 부사절 접속사
10.3.6. 〈조건〉 부사절 접속사
11. 관계대명사
11.1.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종류
11.2. 관계대명사 who/which
11.2.1. 선행사 ‘사람’ : who(주격/목적격), whose(소유격), whom(목적격)
11.2.2. 선행사 ‘사물/동물’ : which(주격/목적격), whose(소유격)
11.3. 관계대명사 that
11.4. 관계대명사 what
11.5. 관계대명사의 용법 :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11.6. 전치사 + 관계대명사
11.7. 관계대명사의 생략
11.7.1.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11.7.2.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의 생략
11.8. 복합관계대명사
11.9. 복합관계형용사
11.10. 유사관계대명사
11.10.1. 유사관계대명사 as
11.10.2. 유사관계대명사 but
11.10.3. 유사관계대명사 than
12. 관계부사
12.1. 관계부사의 역할과 종류
12.1.1. 관계부사의 역할 : 관계대명사 vs. 관계부사
12.1.2. 관계부사의 종류
12.2. 관계부사의 용법 : 제한적 용법, 계속적 용법
12.3. 선행사 또는 관계부사의 생략
12.4. 복합관계부사
13. 명사와 관사
13.1. 명사의 분류 (1)
13.1.1.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13.2. 명사의 분류 (2)
13.2.1. 보통명사
13.2.2. 집합명사
13.2.3. 고유명사
13.2.4. 추상명사
13.2.5. 물질명사
13.3. 주의해야 할 명사의 수
13.4. 명사의 소유격
13.5. 독립소유격과 이중소유격
13.5.1. 독립소유격
13.5.2. 이중소유격 : of+소유대명사
13.6. 부정관사 a/an
13.7. 정관사
13.8. 관사의 위치
13.9. 관사의 생략
14. 대명사
14.1. 대명사의 종류와 용법
14.2. 인칭대명사 (1) : 재귀대명사 -self/-selves
14.3. 인칭대명사 (2) : it
14.4. 지시대명사 this, that
14.5. 부정대명사 one, ones
14.6. 부정대명사 another, other
14.6.1 부정대명사 another, other의 관용표현
14.7. 부정대명사 some, any
14.8. 부정대명사 all, both
14.9. 부정대명사 each, every
14.10. 부정대명사 either, neither
14.11. 부정대명사 no, none
14.12. 복합 부정대명사
14.13. 부분부정과 전체부정
15. 형용사와 부사
15.1. 형용사의 역할과 종류
15.2. 성상형용사
15.3. 부정 수량형용사
15.3.1. 부정 수량형용사 many/much
15.3.2. 부정 수량형용사 a few/few
15.3.3. 부정 수량형용사 a little/little
15.4. 주의해야 할 형용사의 쓰임
15.4.1. 형용사의 후치 수식
15.4.2. 「the + 형용사」
15.4.3. 유사보어
15.4.4. 분사 형용사
15.4.5. 특정한 형태로 자주 쓰이는 형용사들
15.5. 부사의 역할 및 형태
15.5.1. 부사의 역할
15.5.2. 유의해야 할 형태의 부사들
15.6. 주의해야 할 부사의 쓰임
15.6.1. 빈도부사
15.6.2. like vs. alike
15.6.3. so vs. such
15.6.4. most vs. almost
15.6.5. no vs. not
16. 비교 구문
16.1. 원급을 사용한 비교
16.2. 원급을 사용한 관용표현
16.3. 비교급 구문
16.4. 비교급을 사용한 관용표현
16.5. 최상급 표현
16.6. 최상급을 사용한 관용표현
17. 특수 구문
17.1. 도치 (1) : 문법상의 이유에 의한 도치
17.1.1. There/Here로 시작하는 구문
17.1.2. 의문문
17.1.3. 「so/neither[nor] + 동사 + 주어」
17.1.4. 조건절의 if 생략
17.1.5. 양태 접속사 as(~처럼), 비교 접속사 than
17.1.6. 문장의 균형
17.2. 도치 (2) : 어구의 강조에 의한 도치
17.2.1. 장소·방향 부사(구)
17.2.2. 보어의 도치
17.2.3. 부정어 문두 도치
17.2.4. only가 이끄는 부사구[부사절]
17.2.5. 접속사 as/though가 이끄는 양보의 부사절
17.3. 강조
17.3.1. 동사의 강조/명사의 강조
17.3.2. 「It is/was ~ that …」 강조 구문
17.3.3. 그 외 강조의 표현
17.4. 동격
17.5. 병렬 구조
17.5.1. 등위접속사에 의한 병렬 구조
17.5.2. 상관접속사에 의한 병렬 구조
17.5.3. 비교 구문에서의 병렬 구조
17.6. 생략과 삽입
17.6.1. 생략
17.6.2. 삽입
18. 일치와 화법
18.1. 시제 일치와 시제 일치의 예외
18.2. 주의해야 할 수 일치 (1)
18.2.1. 주어가 수식을 받아 동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
18.2.2. 주어가 명사구나 명사절인 경우
18.2.3. 주격 관계대명사절의 선행사와 동사
18.2.4. 도치 구문에서의 주어와 동사
18.2.5. 그 외의 경우
18.3. 주의해야 할 수 일치 (2)
18.3.1. each/every가 포함된 구문이 주어인 경우
18.3.2. 「the number of」 vs. 「a number of」 구문이 주어인 경우
18.3.3. 「(a) few, both, many」, 「the + 형용사」 구문이 주어인 경우
18.3.4. 부분을 나타내는 어구가 주어인 경우
18.3.5. 단수 취급하는 범주의 단어들이 주어인 경우
18.3.6. 상관접속사가 쓰인 주어인 경우
18.4.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18.4.1. 평서문의 화법 전환
18.4.2. 의문문의 화법 전환
18.4.3. 명령문의 화법 전환
정답 및 해설 296
이 책의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