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자주 묻는 질문
★문학 필수 개념으로 문학 작품 독해력을 키우는, 중학 문학 개념서!
『메가스터디 중학국어 문학 필수 개념 독해 연습』
국어 문학은 ‘개념’을 알아야 시험에서 요구하는 대로 작품을 해석하고 문제를 풀 수 있다. 화자가 누군지, 어떤 정서와 태도를 갖는지, 그것을 어떤 어조와 표현법을 사용해 드러내는지를 알아야,
시를 이해하고 문제를 풀 수 있다. 서술자가 누군지, 어떤 인물이 나오는지, 어떤 사건이 어떤 구성으로 전개되는지를 알아야, 소설을 이해하고 문제를 풀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문학의 ‘개념’이다. 시험에 나오는 작품은 달라져도 ‘개념’은 결코 달라지지 않는다.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고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변하지 않는 ‘개념’을 학습해야 한다.
『메가스터디 중학국어 문학 필수 개념 독해 연습』은 문학 필수 개념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재다.
1제휴 문의
01일차 화자의 정서와 태도, 어조 - 심화
필수 개념: 나를 멈추게 하는 것들(반칠환), 서울 꿩(김광규)
실전: 자화상(윤동주)
02일차 대비적 시상 전개/점층적 시상 전개
필수 개념: 바다와 나비(김기림), 사과를 먹으며(함민복)
실전: 수라(백석)
03일차 선경 후정/기승전결
필수 개념: 황조가(유리왕), 비(정지용)
실전: 보리타작(정약용)
04일차 객관적 상관물/감정 이입
필수 개념: 가는 길(김소월), 천만리 머나먼 길에~(왕방연)
실전: 길(김소월)
05일차 색채 이미지/동적·정적 이미지 / 상승·하강 이미지
필수 개념: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김춘수), 담쟁이(도종환)
실전: 승무(조지훈)
06일차 시의 감상 방법: 내재적 관점/외재적 관점
필수 개념: 오-매 단풍 들것네(김영랑), 그날이 오면(심훈)
실전: 청포도(이육사)
07일차 향가/고려 가요
필수 개념: 제망매가(월명사), 청산별곡(작자 미상)
실전: 가시리(작자 미상)
08일차 평시조/연시조/사설시조
필수 개념: 까마귀 눈비 맞아~(박팽년), 두꺼비 파리를 물고~(작자 미상)
실전: 훈민가(정철)
09일차 인물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편집자적 논평
필수 개념: 길모퉁이에서 만난 사람(양귀자), 춘향전(작자 미상)
실전: 유자소전(이문구)
10일차 직설적·우회적 말하기/고사를 인용하여 말하기
필수 개념: 소음 공해(오정희), 화왕계(설총), 운영전(작자 미상)
실전: 호질(박지원)
11일차 해학/풍자/반어
필수 개념: 봄·봄(김유정), 양반전(박지원), 운수 좋은 날(현진건)
실전: 이상한 선생님(채만식)
12일차 소설의 감상 방법: 내재적 관점/외재적 관점
필수 개념: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오마니별(김원일)
실전: 꺼삐딴 리(전광용)
13일차 판소리계 소설/영웅 소설
필수 개념: 장끼전(작자 미상), 홍길동전(허균)
실전: 토끼전(작자 미상), 박씨전(작자 미상)
14일차 권선징악/전기성
필수 개념: 흥부전(작자 미상)
실전: 심청전(작자 미상)
15일차 시나리오 용어
필수 개념: 베토벤 바이러스(홍진아, 홍자람)
실전: 내 마음의 풍금(하근찬 원작, 이영재 각색)
16일차 극의 감상 방법: 내재적 관점/외재적 관점
필수 개념: 웰컴 투 동막골(장진)
실전: 맹 진사 댁 경사(오영진)
17일차 수필의 감상
필수 개념: 흙을 밟고 싶다(문정희)
실전: 열보다 큰 아홉(이문구)
18일차 내간체 수필과 설(說)
필수 개념: 조침문(유씨 부인)
실전: 이옥설(이규보)
카드뉴스
이 책의 특징
